본문 바로가기
정책이야기

통장 종류별 저축 꿀팁 총정리!

by DaisyDay 2022. 7. 4.
반응형

예금, 적금, 청약. 헷갈리는 통장 종류별 저축하는 방법과 꿀팁도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저축꿀팁

 

첫 번째. 예금통장 관리 꿀팁!

① 만기가 짧은 걸로 선택하기

코로나를 포함한 여러가지 국제정세에 따라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때문에 주식과 코인 등 섣불리 투자를 하는 것보다 예금저축을 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며 최근 은행별로 다양한 고금리 예금 상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당분간 계속 금리가 오를 전망이기때문에 3년 이상의 장기 예금보다 짧은 기간으로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만기 후 재예치 반복하기

3개월~6개월 정도의 짧은 예치기간의 예금에 가입한 후 만기가 되었을 때 재예 치를 하게 되면 원금+이자에 다시 한번 이자를 받는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치기간이 3년 이상의 장기 예금보다 짧은 기간의 예금을 선택하여 예금+재예치를 반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③예금 풍차돌리기

저축을 통해 목돈을 모았다면 매월 1개씩 예금에 가입하여 목돈을 묶어둡니다. 1년이 되면 가입했던 예금마다 이자가 쌓이게 되며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는 가장 최근에 가입한 예금을 해지하면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적금통장 관리 꿀팁!

①적금은 꼭 필요한 것으로 1~2가지만 가입하기

지속적인 금리 상승으로 여러 가지의 적금에 가입하는 것보다 높은 금리의 예금 상품을 여러 개 가입하는 것이 더 좋은 시기입니다. 이런 시기에는 청년희망적금처럼 정부지원 적금을 포함한 꼭 필요한 상품만 가입하고 목돈을 만들어 예금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자유적금은 월말에 가입하고 1일마다 입금하기

자유 적음은 월초에 입금할수록 이자가 늘어 자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월말에 가입하고 자동이체일을 1일로 맞춰 놓았을 때 최대한의 이자로 무려 1개월 분의 이자를 더 받게 되기 때문에 가장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③정기적금은 선납 이연으로 맞추기

정기적금은 매월 돈을 입금하는 것보다 가입 후 1/2 시점과 만기일 전날에 각각 6개월, 5개월 분의 목돈을 한 번에 넣는 것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선납+이연일의 합을 0으로 맞춰야 가능합니다.

 

세 번째. 청약통장 관리 꿀팁!

①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하기

만 34세 이하, 전년도 소득이 3,600만 원 미만인 사람은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반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더라도 23년 12월 31일 까지 전환 신청하면 납입횟수는 유지되고 년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 가입이 가능합니다.

②매월 10만 원씩 저축하기

청약통장은 최소 2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저축이 가능하지만 매회 최대 저축 인정금액은 10만 원이기 때문에 매월 10만 원씩 납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③최소 600만 원은 저축하기

청약통장은 납입 회차 24회 이상이고 600만원 이상 예치되어있다면 추첨제로 뽑은 민영주택 유형 대부분에 지원이 가능합니다. 청약통장에 너무 많은 목돈을 넣어둘 필요는 없지만 주택청약 지원을 위해서 최소 600만원 이상을 저축하셔야 합니다.

 

네 번째. 급여통장 관리 꿀팁!

①수수료 우대받기

별도의 급여통장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입출금 통장으로 월급 계좌를 연결해두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기존에 이용 중인 은행에서 급여통장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입출금 및 이체 시 수수료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적금이나 청약 상품에 가입한 은행과 맞춰 우대금리 받기

급여통장이 있거나 급여를 받고 있는 은행에서 예금, 적금, 청약 등의 다른 상품에 가입 시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곳이 많습니다. 뿐만 아니라 동일 은행에서 급여와 저축상품을 같이 이용하면 추후 대출이 필요한 경우에도 훨씬 유리합니다.

③통장 쪼개기

급여통장에 월급이 들어오면 거기서 각종 이체나 생활비를 사용하는 것보다 급여통장은 별도로 두고 다른 통장으로 필요한 금액을 이체시켜 생활비, 적금, 청약 등 목적을 나눠 별도로 통장을 나눠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 번째. 연금저축펀드 관리 꿀팁!

ⓛ월급의 10% 납입하기

연금저축펀드는 노후대비의 목적으로 가입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세액공제 혜택이 크기 때문에 가입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세액공제의 한도는 연 400만 원, 월 34만 원 정도지만 급여가 적다면 돌려받을 세액도 적기 때문에 월급의 10%가 가장 적당합니다.

②연금저축보험 -> 연금저축펀드로 이관하기

연금저축보험이나 변액보험 등 노후 보장을 위해 가입한 보험보다 펀드를 운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펀드로 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보험에서 펀드로 이관 시 당장은 조금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고 30대부터는 차이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해외 ETF 투자

연금저축펀드는 투자 상품중 하나이기 때문에 해당 펀드에 납입한 금액으로 직접 해외 ETF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무작정 투자할 경우 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과 마찬가지로 충분한 정보를 접하고 공부하신 후 투자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여섯 번째. 파킹 통장 관리 꿀팁!

파킹 통장이란?

파킹 통장은 하루 단위로 이자를 계산해주고 일반 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주며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소액으로 돈을 굴리거나 여유자금이 있을 때는 파킹 통장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은행, 카카오 뱅크, 케이 뱅크 등에서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상품 이용을 위해서는 기존 보유 중인 통장에서 계좌 연결을 하여 연결된 통장으로부터의 입출금만 가능합니다.

(우리은행 - 마이 WON포켓 / 카카오 뱅크 - 세이프 박스 / 케이 뱅크 - 플러스 박스 등)

 

반응형

댓글